제목


포대희가 탄생한 17세기, 제목은 대단히 간단했고 즉흥극이 주류였다. 지금도 즉흥극은 지금도 민남지구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타이완의 파선도팔선(擺仙跳八仙) 등 대사가 없는 신내리 연출 등도 있다. 18세기부터 제목에 따라 연출하는 포대희가 등장한다. 또한 상연도 1시간 이상 걸려 가인(佳人), 사건해결을 중심으로 하는 스토리성이 높은 주제가 인기를 끌고 현재까지 전해지는 사금군기(四錦裙記), 오포기(烏袍記), 희작고상(喜雀告状)등의 대본이 완성되었다. 더불어 무극, 역사연의 등 소설을 제목으로 삼는 것들이 탄생해 삼국지연의, 서유기, 봉신연의 등 소설을 소재로 한 것들이 인기를 끌었다. 또한 음악 외에 대사에 의한 회화가 표현 주체가 되어 오페라 방식에 의한 표현이 없는 점이 다른 중국 전통극과 크게 다른 점이다.

1980년대 타이완에서 포대희가 톡특하게 발전을 이어간다. 무타 武打 (무협), 고소(搞笑, 개그), 과환 (科幻, 환상, 일루전) 등을 소재로 삼았다. 1시간 전후의 상연되며 이는 기존의 포대희와 구별되지만 기존 포대희의 관념을 새로이 해석한 신선한 형식도 등장한다.

 



사진: 전통 포대희 - 오포기라는데 확인은 안됨. 출처는 타이완시 정부 페이지. 

 

등장 시호


포대희 인형이 무대에 등장할 때 각각 고유의 사념백(四念白)을 말하며 등장한다. 사념백은 등장시호(혹은 정장시)의 일종으로 사구四句의 오언 혹은 친언 고시 형식을 뜻하는 타이완어 염백 (念白)에서 그 명칭을 따왔다.

등장시는 포대희의 중요한 특징이며 독특한 선율의 시는 인형의 역할을 관객에게 설명하는 것 외에도 인형의 직책, 신분, 성격을 문어로 표현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포대희상연 중에 관음보살이 등장할 때는 남해보타자재설법삼천세계불법무변무량범인난도련태라고 불교적인 내용을 말하고 노인이 등장하면 月過十五光明少人到年中年万事休児孫自有児孫福莫為児孫作馬牛老漢姓維名基 (나이들어 어쩌고 저쩌고 하는 내용...), 술집 종업원 룡투(龍套) 가 등장할 때는 혹은 술이나 요리迎三島客湯送五湖賓不将可口味難近使銭人A是売茶요리. (차 술 팔아요) 등으로 표현한다.



예) 소환진의 등장시. 

사구의 7언시. 


半神半聖亦半仙,全儒全道是全賢。
腦中真書藏萬卷,掌握文武半邊天。



일반적으로 포대희에서는 장음을 많이 사용하며 화단 이외의 경우 출장시가 연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출장시 이외에는 낭독형식의 대사가 연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타이완 포대희 발전 과정에서 사념백으로 칭해지는 출장시는 1980년대에 대장(対仗), 평측(平仄) - 둘다 중국 시의 형식-을 보존하면도 큰 변화를 겪게 된다. 타이완에서 당시 유행하던 벽력포대의에서는 극중 검군십이합이 청대의 문인 장조(張潮) 유몽영(幽夢影)의 십이한十二恨을 출장시로 사용했다. 또한 1990년대가 되면서 타이완에서 TV로 방영된 포대희는 출장시 외에 인형마다 출장시의 연장선이라 복 수 있는 독특한 테마음악이 사용하여 시청자들에게 인형의 역할을 설명하는 새로운 방식이 틍장하게 된다.

 

음악과 구백


(구백을 대사, 나레이션으로 번역했는데 쓰면 쓸수록 구백은 그냥 구백이라 보는 게 맞을 듯함. 그래서 그냥 구백.)



출장시와 인형 연출 외에 전장前場, 후장後場의 연출에서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것은 음악반주와 구백이다. 후장에 인형사 외에 음악, 음향효과를 담당하는 사람을 배치하고 전장에서 벌어지는 문우극에 맞춰 완급에 따라 연출을 한다. 포대희의 연극적인 효과를 높이는 이러한 연출을 <三分前場七分後場 전장 30% 후장 70%>라고 표현하면서 후장에서 벌어지는 음악, 구백의 중요함을 강조한다.

전통포대희 반주에서는 북관 혹은 남관 (대만 전통의 기악합주 방식) 두 종류의 음악이 사용된다. 후장에서 싸우는 장면에서는 타악기를 사용하고 문을 논하는 장면에서는 현악기나 발현악기, 관악기를 많이 사용한다.

좀 더 자세히 구분하면 싸우는 장면에 사용되는 악기는 징, 바라, 작은북, 장구 (通鼓) (), 방울, 박 등이며 문을 논하는 장면은 이호, 태평소, 월금 혹은 피리 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악기 사용형식에 따라 생단희, 심장희(審場), 무타희, 연대희, 접자희(摺子戯), 봉타희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진: 이호


20세기 중후반부터 악기 사용에 변화가 오는데 경극 배경음악 사용의 영향을 받아 양악기를 사용하고 가수를 기용해 노래를 부르게 하거나 전자음악을 사용하는 듯 새로운 양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민남 혹은 타이완 지역 언어로 대사하는 구백사는 포대희에 혼을 불어넣는다포대희 연출 중 구백사는 등장인물의 대사를 담당하며 포대희에서 유일하게 이름이 나오는 출연자이기도 하다. 이런 중요한 역할을 전문으로 하는 구백사는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등장인물의 목소리 특징, 말투, 다양한 지역 언어를 익히고 감정의 변화를 표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학이나 음악에 관련된 조예가 필요하다.




사진: 벽력 포대희의 구백사 황문탁씨. 八音才子라 불리는 천재적인 구백사


실제로 한명의 구백사는 28명이 넘는 등장인물과 그 감정을 표현한다. 또한 포대희의 특징인 출장시도 담당하며 구백사의 역량이 연출 성공을 좌지우지 한다.

 

  

포대희의 역할은 생, 화검(花臉), , 신도(神道), 정괴(精怪), 잡각(雑角)6 종류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 남성, 선한 역. 그 중에서 소생小生은 현재 주역을 맡는 경우가 많다. 문생은 지능형 무생은 동적인 역의 남성역할을 말한다.




사진: 포대희계 대표적인 문생 사염문 사진 출처는 모 목우점. 사진은 삭제 


화검: 호쾌, 용맹한 기질을 가진 남성역. 홍대화(紅大花), 청화자(青花仔) 문목흑대화(文木黒大花) 등이 대표적인 캐릭터이다. 그 외에 원본서적에 기초한 독특한 역으로 관우, 서량(徐良) 등이 있다.


단각: 온화한 성격의 여성 역, 화면단(花面旦) 관음단, 노단, 소단 등이 있다.


신도 : 재물신, 삼선 등 신과 관련된 역. 원본에 기초한 역할로 서해용왕, 태사(聞太師) 등의 신적인 존재가 있다.


정괴: 우두마면(牛頭馬面) 등 괴물


잡각: 화상, 승려, 결취(缺嘴, 바보)


20세기부터 새로운 타입의 포대희가 등장하지만 구백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포대희의 영향이 아직도 강하게 남아 있다. 하지만 사염문, 소환진(문생), 난세광도(무생)횡천추, 주천(화검), 익소당(翼小棠 특수한 무단), 진가선,이치 (二歯) - 추 등 참신한 캐릭터가 탄생하게 된다.



오늘도 즐거운 새벽로동 끝. 번역이 문제가 아니라 생소한 말이 문제다...경극이나 전통극의 언어가 대부분이라서 ㅠㅠ 

 

 

Posted by inabauer
,

http://ja.wikipedia.org/wiki/%E5%B8%83%E8%A2%8B%E5%8A%87


개요

 

포대희 (푸따이시, 포대희) 대만의 민속예술의 하나. 포대목우희, 수조괴뢰희(手操傀儡戯), 수포괴뢰희(手袋傀儡戯)장중희(掌中戯)小籠 (소롱) 指花戯(지화희)등으로도 불린다. 기원은 17세기 중국 복건성 천주 혹은 장주로 거슬러 올라가 복건 천주, 장주, 광동, 조천 그리고 타이완 일대에서 일종의 인형극으로 현대에 전해진다. 인형의 머리와 손은 목제이며 그 외의 몸 부분은 포대의 의복으로 구성되어 연출할 때는 손을 인형 의복 사이로 넣어 조작한다. ‘로 만든 자루 인형에서 포대희의 명칭이 생겨났다. 포대희의 특징은 음악반주에 맞춰 등장 시호를 읊조리는 것, 상황설명을 대사로 하는 것과 인형조작에 의해 구성되며 대사 곡조와 창 곡조 표현은 그다지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포대희의 연출

 

무대

어떤 형식이든 포대희의 연습에는 무대가 필요하다. 규모는 제각각이지만 대만국가극원 (台湾国家劇院)에서 상연되는 벽력포대희에서는 무대 크기가 10m 이상에 달하며 그 무대는 극 내용의 풍경을 연출하는 것 외에 관중과 출연자의 거리를 확보다는 기능도 함께 한다. 하지만 초기 포대희에서는 무대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 기둥과 간단한 무대, 커튼에 의해 구성된 이동이 가능한 간이무대가 일반적이었다. 포대희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무대 구조도 복잡해지고 사각붕(四角棚)이라 불리는 무대가 탄생하게 된다. 사각붕은 3-5m의 무대로 구조는 소형 사당(土地公廟)과 유사하다. 사방에 기둥을, 중앙에 대청이라 불리는 구조물을 세우고 4면에서 3면은 비우고 대청 안에는 병풍을 배치해 출연자가 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사각붕도 시대 흐름에 맞춰 복잡하고 정밀해졌으며 조각을 베풀어 중국전통 건축 스타일을 채용하기도 했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포대희에 육각붕 무대, 별칭 채루 (彩楼, 채색 누각)라 불리는 무대가 등장한다. 사각붕 좌우 양쪽에 각각 1면을 더한 것으로 좌우 양쪽 관중을 의식한 연출효과를 의도하고 있다. 이 육각형 무대는 무대 폭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연출공간 혹은 시각효과에 변화를 주었으며 장식에 디자인을 더한 무대연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무대장식 디자인은 그림이 주로 사용되었고 제작비용을

줄이는 것과 더불어 간편한 이동을 추구하는 동시에 이 전통예술에 빠질 수 없는 무대효과를 획득했다. 현재 이러한 무대는 포대희극 연출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인형 연출


현대 포대의 인형 내부에는 복잡한 기구가 사용되어 양손 조작이 필요하다. 포대희에서 무대위 의 인형 조작과 연출이 상연할 때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전통적인 포대희의 경우 포대인형의 크기는 30cm 정도이며 신체와 사지가 전부 천으로 제작되어 인형사는 왼손을 인형 속에 집어 넣어 조작한다. 집게손가락을 머리에 넣고 엄지손가락은 인형 왼손에, 나머지 세 손가락은 인형 왼손을 조작하며 좌우전체를 이용해 인형 전체를 움직이며 두부와 손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사진) 전통 포대희 목우 손위치. 조교는 에버랜드 핸드 퍼펫 토깽이. 


하지만 소형에 소박한 포대인형으로 표정 변화를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몸 움직임 만으로 인물의 감정을 표현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숙련된 연출을 하기엔 상당히 무리가 따랐다.

 

인형을 역할에 따라 구분하면 포대인형은 생 , , , , 5가지로 분류된다

(사진 포대희의 분류 생, 단, 정,말,추 

타오위안 공항 포대희 부스에서 찍은 사진 ) 







생: 친절하게도 영어로 쓰임. 보이나요? 너무 작나? 

말하자면 남자주인공. 문생, 무생등으로 나뉨 



단. 여자주인공 



정: 개성강한 남자 역 혹은 빌런.얼굴 색으로 개성을 표현한다고 함. 검은색은 성깔머리, 녹색은 빌런, 빨간색은 충정. 




말: 어르신. 




추: 개그 캐릭터. 코에 흰 점을 찍기도 한다 함. 


인형은 각각 역할에 맞게 손, 발의 움직임을 명확히 구현할 필요가 있다. 이는 경극이나 가자희 (歌仔戯 타이완 오페라)의 강한 영향으로 보며 신체동작이 극중 인물 감정과 상연 테마를 표현하여 동작으로 감정을 주입하는 것이다. 포대희는 한손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인형사는 보통 손자서 2대의 인형을 조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포대희는 2대의 인형이 서로 대화를 나누거나 싸우는 내용이 많으며 이를 1명의 인형사가 조작한다. 이는 일반 전통극처럼 회화를 중심으로 하는 문희 文戯 (경극의 일종 : 삼국지연의, 수호지, 서유기가 대표적. 치고받고 싸우는 게 아닌 주로 말로 하는 경극), 무술극이 구별되는 것과 비슷하다.

<これらは一般伝統劇同様会話とするものを文戯武打いものを部戯区分している- 이게 원문...문희는 뭐고 무타는 또 무어냐...>

 

20세기 중반 이후 보다 수준 높은 시각효과를 위해 포대희 인형의 대형화가 진행되어 50cm에서 무대에 따라서는 70cm 크기의 인형이 제작되기도 했다. 대형화에 의해 인형사는 양손으로 인형을 조작하게 되었으며 더불어 전통작인 조작 외에 인형 내부터 특수한 장치를 넣어 끈으로 눈꺼풀이나 입을 조작하고 손발이 구부러지는 기구도 채용되었다. 이 외에 좌우 양손을 사용하면서 깊은 감정, 달리고 뛰고, 뛰어넘고 도약하거나 무술동작 (雲手臥魚) 등의 신체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새벽마다 두 세 패러그라프씩 번역?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가능하면 일본어 원문 그대로 번역하려 했음.  



 

 

Posted by inabau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