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남어, 영어로는 Southern Min 한자로는 閩南語로 쓴다. 중국어의 방언 중 민 방언이 있고 그 중 남쪽 지역 방언이라 민남어라고 통칭하는데 민남어 안에서도 복건어, 하문화(廈門話), 타이완 복건어(臺灣閩南語 한자 표기로는 타이완 민남어) 콴조우어 (泉州 천주어), 짱조우어( 漳州 장주어) 등등등 갈래가 나뉜다. 

타이완 포대희의 기원에서 천주에서 기원한 포대희 장주에서 기원한 포대희가 각각 달랐는데 이 두 지역은 방언도 약간 차이가 난다고 한다. 



민 방언은 푸젠을 중심으로 광둥의 차오산 지역, 저장 남부 지역, 타이완과 하이난 지역 등에서 사용하는데 사용인구는 약 5,507만명으로 한족 총인구의 5.6%에 해당된다고 한다. 민방언은 중국어 방언 중 내부 분화가 가장 복잡한 대규모 방언으로 보통 민남어와 민북어 두 갈래로 나뉘고 그 외에 상기에 기술한 것처럼 세분화된다. (인용: 중국어의 비밀 궁리, 460p) 타이완에서는 몇해 전부터 민남어 제작된 방송을 허용하고 학교에서도 민남어 교육을 강화화는 등 민남어 보급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한다.(출처 상동)  



민남어 한자 발음이 중국 한어 병음보다 우리가 쓰는 한자 발음과 많이 유사한해서 포대희 발음을 듣다 보면 어라? 저건 발음이 비슷하네? 싶은 경우가 자주 있다. 중국 본토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고대 한어의 발음이 많이 달라졌지만 언어 변경인 일본과 한국 한자어에는 여전히 고대 한어 발음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민남 지역 역시 언어 변경이었기 때문에 고대 한어 흔적이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포대희 布袋戱의 발음만 놓고 봐도 타이완민남어 발음은 Pò͘-tē-hì 포데-히, 중국어 병음은 bùdàixì 뿌다이시이다. 일본어 발음은 ほていぎ(호테이기)- wege님 제공 정보포데히과 포대희 발음이 많이 비슷하다. 



하루에 한 문장씩 중국어 병음과 민남어 병음을 병기해서 포대희에 나오는 혹은 나올법한 문장을 공부삼아 적어볼 생각. 



민남어도 갈래가 너무 많고 그 안에서 또 분화가 일어나는 보면 볼 수록 헬인 언어라서 정확히는 '타이완어' 를 공부해 볼 생각이다. 

예전에 사온 '국적불문 타이완어' 라는 타이완어 책을 참고로 작성할 예정이다. 

그리고 이 사이트를 참조. 타이완서 사전 

http://twblg.dict.edu.tw/holodict_new/index.html


  오늘은 딱 한자만... 


請 청할 청 포대희 보면 무지 많은 나오는 말하자면 Please 같은 단어이다. 

중국어 발음은 请 [qǐng] 굳이 한글로 쓰자면 칭 사성에 누르라고 했으니 한번 눌러서 치응 

請 타이완어 발음은 cia(n  n은 작게 표기)) 치앙. 혹은 챵 

포대희에서 어서 오세요, 앉으세요 할대도 챵, 잘 가세요 안녕, 할때도 챵 

소소 같이 말 예쁘게 하는 캐들이 특히 자주 쓰는 말이다. 




'민남어 한마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용히 해! 포국 중이야. 安静!吾在布局  (0) 2015.09.02
간단하지만 많이 나오는 단어들  (0) 2015.08.19
很 대신 誠  (0) 2015.08.11
말하다는 說이 아니고 講  (4) 2015.08.09
我, 你는 꾸아, 리  (2) 2015.08.08
Posted by inabau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