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국악 악기에 대한 강의를 잠깐 들었는데 국악이 고전 문학과 조화를 이룬 고사나 싯구가 굉장히 인상이 깊었다. 특히 거문고가 매우 재미었는데 거문고는 선비들이 매우 사랑한 악기로 선비들이 시흥이 도도해서 거문고에 싯구를 쓰거나 거문고에 대한 싯구를 남긴 경우가 많다고 한다. 가장 유명한 것은 금명이라고 한다. 


금명(琴銘) 


금이란 금지한다는 뜻이니 / 琴者禁也
삿된 마음을 금하는 것이다 / 禁邪心也
오현금은 옛날의 것이요 / 五絃古
칠현금은 지금의 것이어라 / 七絃今也
칠을 버리고 오가 되게 하니 / 去七而五
옛날의 음률에 합치되도다 / 合古音也

- 번역: 한국 고전 종합 DB 


연산군 때 무오사화에 휘말려 죽은 조선시대 선비인 김일손 선생의 거문고 탁영금(보물 957호) 에 새겨진 문구이고 그 외에도 금을 하는 선비라면 누구나 외우고 있는 싯구라고 한다. 선비들이 간직한 악보 첫 장에도 저 금자금야를 친필로 쓰고 시작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말하자면 문신으로 새긴 차카게 살자. 같은 셈. 


이날 들은 멋진 싯구 하나는 화담 서경덕의 무현금 


無弦琴 

소리를 듣는 것이 형체 없는데 듣는 것만 못하고, 형체 있는 것을 즐기는 것은 형체 없는 것을 즐기는 것만 못하니, 형체 없는 것을 즐겨야 그 줄거리[繳]를 알 수 있는 것이요, 소리 없는 것을 들어야 그 묘(妙)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번역: 한국 고전 종합 DB 


금의 최고 경지는 무현금이라 여겨 무위를 중요시한 선비의 기상이 블라블라 기타 등등 이라고 한다. 


그리고 제목으로 잡은 창랑의 물이 맑으면 갓끈을 씻고...이것도 탁영금에 새겨져 있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아마 맞지 싶다. 이날 강의에 나온게 탁영금이랑 서경덕 외엔 달리 없었으니.. 


滄浪之水淸兮(창랑지수청혜) “창랑의 물이 맑으면

可以濯吾纓(가이탁오영)갓끈을 씻고,

滄浪之水濁兮(창랑지수탁혜)창랑의 물이 흐리면

可以濯吾足(가이탁오족)내 발을 씻으리라.



사진: 보물 957호 탁영금. 대구국립박물관 소장



벽력에 금을 다루는 사람들은 소루용숙, 소환진, 육현지수 창 등등이 있는데 저 금자금야는 금 다루는 사람들의 차카게 살자이니 소환진 금 뒤집어 보면 琴者禁也 저 싯구가 있지 않을까 그런 뻘한 생각도 해 봤다.


근데 거문고 하악하악하던 조선시대 선비들이 조선 후기 청나라에서 들여온 생황의 음색을 들은 후에는 생황에 반해 생황이야 말로 선비의 악기! 오오오 생황! 봉황이 우는 소리가 이 같을 지어다! 오오오! 고급 수입품! 하면서 거문고 버닝에서 생황 버닝으로 넘어갔다고 한다. 조선 시대 후기라고 해도 사무역이 활발한 것도 아니었으니 청나라 가는 사신들한테 생황 하나 사다 주세요. 하는 셈이라 가격도 무척 비쌌다고 한다. 조선 후기 부의 상징은 생황과 막 유행하기 시작한 담배 였다고... 음악을 매우 사랑한 김홍도는 생황이 들어온 후 생황 들고 있는 신선 등의 그림을 수도 없이 그렸다 한다. 



단원 신윤복이 그린 '연당의 여인' 인데 이 그림 속의 얹은 머리를 올린 여인은 한손에 담배, 한손에는 생황을 들고 있다. 해석하자면 난 부자예요. 그것도 아주 부자예요. 이 여인의 신분은 아마 기녀였을 테니 남자 친구가 부자예요...도 가능하겠다. 에르메스 버킨 백과 까르띠에 시계를 차고 무심한듯 하지만 눈에 잘 띄게 사진 찍는 것과 비슷하달까. 


기승전생황으로 끝난 강의였지만 국악기에 대해 모르던 사실을 알게 되었고 심지어 재미까지 있어서 국립국악원에서 하는 이런 종류의 강연이나 강습이 있으면 더 배우고 싶다고 생각했을 정도. 봉황이 우는 소리라는 생황은 조선시대도 지금도 중국에서 대부분 수입한다고 해서 타오바오 가격을 알아봤는데 못 살 가격은 아니었다. 문제는 운지법부터 국내에 가르치는 곳이 거의 없다는 점...ㅠㅠ 



Posted by inabauer
,

모 박물관 서점에서 시간 때우다가 '다른 세상으로 가는 동반자 나무 꼭뚜' 지방 박물관 도록을 책을 발견하고 우리나라에도 목우가 있나? 싶어서 조금 찾아 보았다. 포대희 인형을 목우 (木偶) 라고 부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사실 목우라는 단어는 잘 쓰지 않는다. 일본의 경우는 분라쿠 혹은 닌쿄죠루리 (人形浄瑠璃)같은 인형극 문화가 현재까지 계승되지만 우리나라의 꼭두각시 극은 남사당 공연의 일부로만 전해진 듯하다. 현재 박물관 등에 전하는 목우, 나무 꼭두는 대부분 상여를 장식했거나 무덤속에 껴묻기를 한 명기가 대부분이다. 


명기(明器)는 무덤에 껴묻기 하는 기물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무덤 주인이 저승 가서도 이승에서 누린 것처럼 행복하길 바라는 마음에 넣은 부장품들로 조선시대의 명기들은 거의 1/12 사이즈 미니어쳐 처럼 작고 깜찍하다. 


사진: 명기 이미지출처 hyangto.pe.kr 문제시 지움. 



열화당에서 나온 한국의 나무 꼭두. 영문 제목은 Figure. 얘들은 Doll이나 puppet 보다는 피겨에 가깝고 포즈가 고정되고 갖고 놀거나 조작하라고 만든 물건은 확실히 아니다. 껴묻기가 아니라 상여에 부착한 나무 꼭두는 특히나 조각 장식품에 가깝다. 

헌데 왜 나무 꼭두에 관심이 갔냐 하면... 일단 어감이 무지 아름답지 않은가. 나무 꼭두. 딱딱하고 단조로운 목우보다 나무 꼭두가 발음이나 조어나 더 이뻐 보인다. 



다른 세상으로 가는 동반자로 나무 꼭두를 넣었다는 개념도 꽤 재미있다. 저 세상 가서 인형 놀이 해라. 혹은 하악하악 조형촌 아스카 쨔응 역시 내 요메...죽어서도 함께야... 는 물론 아니지만 저승가는 길 얘들이랑 같이 손잡고 가서 외롭지 마세요, 하는 그 개념이 소박하면서도 사자에 대한 배려가 느껴지는 점이 좋다. 

혜화동에 나무 꼭두 박물관도 있는데 혜화동 나갈일이 별로 없어서 언게 갈 일이 있을지 모르겠다만서도 기회가 닿으면 한 번 가서 보고 싶긴 하다. 



이제부터 목우를 나무 꼭두라고 부르자! 라고 캠페인을 펼칠 일도 아니고 꼭두는 퍼펫보다는 마리오넷의 개념에 가깝다고 생각하지만 혼자서 슬쩍 소소 쨔응을 나무 꼭두라고 부르는 정도는 상관없지 않을까 싶다. 우리집 나무 꼭두 소소 쨔응... 무덤까지 함께 해... 아니 요즘은 화장 시설이지...같이 수원 연화장까지 손 붙잡고 가...심지어 화장 시설을 순화해서 연화장이라고 하네...이건 운명인가? (써놓고 보니 뭔가 섬뜩하다..ㅋㅋ.) 


Posted by inabauer
,

타오바오를 뒤지다 보면 아...저건 어부범의 어깨에 붙은 원단? 저건 금광 신고온황의 모자와 앞자락에 붙은 원단? 싶은 천이 좀 눈에 띈다. 타오바오 직구입으로 원단은 처음 사 봤는데 사본 김에 다른 분들 원단까지 같이 구매했고 오늘 전부 도착했다. 



신고온황 원단. 천계 소환진 원단(색은 같지만 디테일은 조금 다름) 신고온황 원단 터키석 색. 딴 분이 주문하신 빨간 색 외 하얀 원단도 도착 



사실 원단이 중요한게 아니고 원단을 샀으면 자르고 오려 뭔가 만들어야지 않겠슴까. 

해서 갖고 있는 가방 패턴 몇개 풀겠습니다. 사실은 패턴을 그냥 드리려고 생각했는데 그냥 드려버리면 또 나중에 쓸 일이 생각날 듯해서 부직포 패턴지에 패턴을 옮겨서 그걸 보내드릴게요. 


패턴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맥컬이나 버터릭의 빈티지 패턴들입니다. 


저런 얇은 기름종이에 가방 패턴이 그려진 형태. 


가방패턴 1 


적어 둔 번호를 비밀 덧글로 달아주심 됩니다. 


패턴 1- 5, 패턴 2- 3 이런 식으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ㅎㅎ



이렇게 생겼어요. 


가방 패턴 2 



 

안에 든 설명서. 가방은 대충 저렇게 생긴... 


위에 있는 천을 잘 잘라서 자르고 바느질 하면 세상에 둘도 없는 벽력 삘 나는 가방을 들고 다닐 수 있....을지도요... 손바느질로 하실수도 있지만 원단이 두껍고 안감까지 대시려면 손가락에 무리가 올지도요. ㅠㅠ 




Posted by inabauer
,